[백두대간 대장정 제22구간 / 갈전곡봉] 지명

돋달(양양) 고을 변두리의 치밧골(갈전곡) 봉우리
인제의 옛이름 저족(猪足)은 높은 산지의 뜻

훈민정음이 반포된 직후, 김수온(金守溫)이 지은 내불당낙성기(內佛堂落成記)인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에 보면 47개의 인명이 성씨와 함께 기록돼 있다. 특히, 고유어 인명을 한글로 적고 있어서 그 시대 사람들의 이름에 관한 생각을 조금이나마 읽어 볼 수 있다.

막동, 타내, 올마대, 오마디, 오마대, 오망디, 오미디, 쟈가둥, 마딘, 도티, 고소미, 매뇌, ?리대, 올미, 더믈, 샹재, 검불, 망오지, ?구디, 수새, 쇳디, 랑관, 터대, ?둥, 우루미, 어리딩, 돌히, 눅대, 아가지, 실구디, 검둥, 거매, 쟈근대, 북쇠, 은뫼, 망쇠, 모리쇠, 강쇠, 곰쇠….

어떤 것은 외래어나 외국어 같은 것도 있고, 우리식 이름이라고 하기에 너무도 이상한 것도 많다. 지금으로서는 무슨 뜻인지 알 수 없는 이름도 꽤 많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이들 이름들은 모두 우리말에 바탕을 둔 것이라는 점이다.

마른 풀이나 나뭇잎이란 뜻의 검불이 그대로 들어가 있는가 하면, 끝에 낳았다는 뜻이 들어간 막동이 있고, 늑대라는 짐승의 이름을 딴 듯한 눅대도 있다. 망아지(말 새끼)란 뜻의 망오지(망아지), 돼지란 뜻의 도티, 검은 사람의 뜻인 검둥이나 거매, 망할 놈의 뜻의 망쇠, 똥구덩이란 뜻의 ?구디처럼 무척 천박스러운 뜻을 가진 것도 있어 더 눈길을 끈다.

똥이나 쇠 자와 같은 천스럽게 들리는 말을 써가면서까지 이와 같은 천명(賤名)을 쓴 것은 그들의 신분이 천하거나 자식이 아무렇게나 자라기를 바라는 생각에서 지은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오히려 일부러 그런 이름을 붙임으로써 복이나 장수를 기원하는 부모의 간절한 소망을 담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성은 한자로 적고 이름을 한글로 적었는데, 이렇게밖에 할 수 없었던 것은 이러한 이름들을 한자로는 모두 표기하기가 어렵게 때문이었을 것이다.

▲ 약수산에서 내려다본 구룡령 도로와 양양쪽 산줄기들. 갈천리 깊숙한 곳으로 후천 골짜기가 들어오고, 그 왼쪽에 백두대간, 오른쪽에 조봉 능선이 높다랗게 솟았다.

돼지의 원이름은 돝 또는 도티

우리네는 집짐승 중 좋은 꿈을 꾸라고 하면 개나 닭 같은 동물을 들지 않고 대개 돼지를 든다. 돼지는 잘 먹고 잘 크기 때문일까? 지저분하고 잘 생기지 않은 짐승임에도 잘 먹고 잘 자라서 그랬던지 우리네는 돼지를 부(富), 나아가서는 행복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지금도 그 흐름은 별로 달라지지 않고 있다.

멧돝(멧돼지) 잡으려다 집돝(집돼지)까지 잃는다는 속담은 부를 추구하되 지나친 욕심은 자제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역시 돼지를 돈(재산)과 관련지은 것이다. 그런데다가 돼지가 한자로 돈(豚)이어서 금전을 뜻하는 우리말인 돈과 음이 같아 돼지=돈이라는 인식을 머리에 뿌리박게 만들었다.

도티의 뿌리말은 돝(돋) 또는 도티이다.
·현무문(玄武門) 두 도티 한 사래 마?니 (용비어천가 43)
·돋 시(豕) (훈몽자회 상19)
·돋? 고기? 사다가 (소학언해 4-5)
·쇼와 양과 돋티라 (소학언해 2-33)

옛사람들 이름에 도야지 또는 대아지, 도지, 도치(도티) 등의 이름을 더러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모두 돼지라는 뜻을 지닌다. 집짐승 이름들을 보면 말, 소, 개, 닭, 양처럼 한 음절 이름이 많다. 그런데, 돼지만은 두 음절이다. 그러나, 돼지란 말도 원래 돝(돋)이라는 한 음절이었다. 옛날에는 집짐승을 나타내는 외자 낱말에 ?지(아지)라는 말을 덧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새로 태어난 것(새끼)에 그런 일이 더 많았다.

·쇼(소)+?지>쇼?지(소?지)>송아지
·말+?지>마?지>망아지
·가(개)>가?지>강아지
·돝+아지>돝아지>도야지(돼지)

그렇다고 보면, 지금의 돼지(도야지)란 말은 돼지의 새끼란 의미가 될 것이다. 그러나, 언제부터인지 돝이 아닌 돝아지(도야지) 자체가 돼지란 뜻을 대신하게 되었다. 돝이란 음 자체가 조금 힘들어 나온 현상으로도 보인다.

땅이름에서도 돝(돋)이란 음을 많이 사용한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 중엔 돼지와 관련하여 나온 것이 많지만, 오랜 옛날에는 지형적인 의미로 붙여진 것이 더 많았다. 즉, 돝(돋)을 돼지가 아닌 돋음(솟아오름)의 의미로 새겨 한자의 도(刀)나 동(冬)으로 음역하여 붙인 것이다. 지금의 경북 영천시 일부였던 곳의 삼국시대 지명은 돋??로 유추되는 도동화(刀冬火)이고, 경기 과천시의 삼국시대 별칭은 돗?홀(돗골, 돋골)로 유추되는 동사힐(冬斯?)이다.

일부에서는 도(刀)나 동(冬)으로 취한 돋(돗)을 일출(日出)의 의미로도 보고 있으나, 대개의 땅이름이 지형적인 면을 고려하여 붙인 것임을 생각할 때 돋아오른(두드러져 오른), 즉 높은 의미로 새기는 것이 더 옳을 것이다.


높은 산의 고장 인제 고을의 돋달
▲ 인제 진동리에서 양양 서림으로 넘어가는 조침령

백두대간 중에서 강원도 구룡령과 조침령 사이의 구간은 근처 다른 구간에 비하여 조금 덜 높은 편이다. 그러나 산지는 엄첨나게 넓어 주위가 온통 산이다. 한계산(漢溪山) 이남의 광활한 산지는 북한강 지류들과 남대천 지류들의 분수령을 만들어 놓고, 양양과 인제라는 큰 산고을을 갈라놓는다.

이러한 산지 고을임에도 이 근처에는 아주 오랜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이 터박아 살아왔다. 산지 지역에서 좀 떨어져 있는 곳이긴 하지만, 양양군 손양면 오산리에서는 한반도 내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이 발굴되어 이 지역에서 인간이 오래 전부터 거주해왔음을 알 수 있다.

양양 일대는 삼국시대 이전에 예(濊)나라에 속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구려 영역이었던 이곳은 삼국시대에는 이문현(伊文縣) 또는 익현현(翼峴縣)이었다. 이문(伊文)의 음운반절(音韻反切)은 ‘일’로, 그 뿌리말은 ‘읻’일 것이며, 익현(翼現)의 익(翼)도 ‘읻’의 음차로 보인다. 이 ‘읻’은 지금의 우리말 얕다의 ‘얕(얃)’에 대응되는 말로 보인다.

익현은 통일신라시대인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익령현(翼嶺縣)으로 개칭되었고, 고려시대에 들어 1018년(현종 9)에 5도양계제(五道兩界制) 실시에 따라 현령이 파견되고 동계(東界)에 속했던 그 당시에 동산현(洞山縣)을 속현으로 병합했다. 1221년(고종 8)에 양주(襄州)로 승격하면서 지금의 양양(襄陽)이라는 이름의 바탕이 된다.

양양의 양(襄)도 ‘얃'을 근거로 한 이름으로 보인다. 양양은 낮은 산의 고을의 뜻인 얃골일 것이다. 지금의 양양 고을은 고구려 때의 이문(익현) 지역만이 아니며, 고을 땅의 남서쪽(백두대간 서쪽) 일대는 대부분 큰 산골짜기임을 뜻하는 혈산(穴山) 또는 동산현(洞山縣) 지역이었다.

백두대간 동쪽의 양양 지역이 오랜 옛 지명으로는 낮다는 뜻으로 나오는 데 반하여 서쪽 지역은 높다는 뜻으로 나온다. 그 대표적 지명이 바로 저족(猪足)이다. 저족을 한자 뜻대로 풀이하면 돼지 다리가 되지만, 이 뜻으로 되었을 리는 거의 없다. 그리고, 삼국시대 무렵엔 실제 돼지란 말을 쓴 일도 없었을 것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돼지의 옛말은 돝(돋)이다. 따라서, 다리의 뿌리말 달이 돝이란 말 뒤에 붙어 돝달이 이 고을의 이름으로 자리 잡아 갔을 가능성이 짙다. 즉, 돝달이 돝다리가 되고, 이것이 한자의 저족(猪足)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언어학자 고 신태현(辛兌鉉)님도 저(猪)의 훈이 돋이고, 족(足)은 다리로 산(山)의 뜻인 달의 훈차라고 하였다. 그래서, 인제 고을의 옛 토박이 이름은 돋달이며, 이것은 바로 일출산(日出山)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돝달이 저족이란 한자 이름으로 갔을 것이라는 것은 동감하나 이를 해 돋는 산을 뜻한다는 것에는 의문이 생긴다. 고대의 땅이름에서는 돋이 대개 두드러져 오른 곳 즉 높은 지대를 일컬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달은 산의 옛말

하늘이 높다 하고 / 발저겨 서지 말며 / 따이 두텁다고 / 마이 밟지 말을 것이 / 하늘 따 높고 두터워도 / 내 조심하리라.
(하늘이 높다고 하더라도 발꿈치를 돋우고 서지 말고, 땅이 두텁다고 마구 밟지 말아야 하리, 하늘과 땅이 높고 두텁다고 하더라도 나는 조심을 하련다).

이것은 조선 숙종 때의 정치가이면서 가객으로 이름 높았던 주의식(朱義植·연대 미상)의 글이다, 모든 일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군자의 몸가짐임을 깊게 강조한 것이다.

이 글에는 ‘따’라는 낱말이 두 번이나 들어갔다. 따는 땅의 옛말. 지금은 대개 땅이라는 말을 쓰고 있으나 옛날에는 보통 따라는 말을 썼다. 옛 문헌에 보면 땅은 따 외에 ‘따?’로도 나온다
·따 디(地) <왜어유해> 상7
·? 허위며 소리 하고 ?라 오거? <석보상절> 6-32
·? 디(地) <훈몽자회> 상1
·세세에 난 ?마다 <석보상절> 6-8
·?호로 향?야 <박통사언해-초간> 상 8
따는 경음화한 말이고, 그 전에는 다 또는 달이었다. 그리고, 또 그 이전에는 폐음절(閉音節)인 닫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닫>달>다>따>땅

달이 땅의 뜻이었음은 지금 말의 많은 낱말들을 통해서도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우선 달구질이란 말을 예로 들 수가 있다. 달구질이란, 집 지을 터를 단단히 다지는 짓을 뜻한다. 이 말은 달(땅)과 질(행동)이 합쳐져 이루어진 말이다. 달(닭)+질=닭?질. 즉, 땅’라는 말과 질이라는 말이 합쳐 달구질이란 말이 나오게 된 것이다.

전국에 퍼져 있는 땅이름 중에 닭실, 닭재 등 닭이 들어간 것이 적지 않은데, 이 중에는 그것이 땅 또는 산의 뜻으로 들어간 것이 많다. 달은 ‘다’가 되고 다시 격음화하고 모음도 변하여 터가 되기도 했다. 달이 또 산(山)의 뜻으로 많이 쓰이기도 했음은 지금의 산이름들에 유달산, 팔달산, 추월산, 월출산 등 달, 월(月) 등의 이름이 많이 들어가 있음을 보아서도 짐작할 수 있다.

삼국유사에 보면 중국의 위서(魏書)를 인용하여 ‘단군이 아사달(阿斯達)에 도읍을 정하고 새로 나라를 세워 국호를 조선이라고 불렀다’라고 했는데, 여기의 아사달도 이르다(朝)는 뜻의 앗과 산의 뜻인 달이 합쳐져 이루어진 말로 보인다. 즉, 아사달을 앗?달(아?달), 즉 앗+달의 구조로 된 이름으로 보는 것이다.


골짜기 이름에서 나온 갈전곡봉

높은 산을 의미하는 돝달(저족) 일대에 갈전곡봉(葛田谷峰)이 1,204m의 높이로 자리하고 있다. 양양군 서면과 인제군 기린면, 홍천군 내면의 경계에 있는데, 봉의 원이름은 치밧골봉으로, 주로 홍천군 방향에서 이 이름으로 많이 불려 왔다. 치밧골이란 이름에서의 치밧이 칡밭에서 나온 것임을 한자명 갈전(葛田)을 통해서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칡밭이 근거가 된 이름이라면 원래 츨긔밧골 또는 츨밧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칡의 옛말이 츩이기 때문이다. 슳다, 승겁다, 며츨, 몸즛, 즘승이 전설모음화(前舌母音化) 현상에 따라 싫다, 싱겁다, 며칠, 몸짓, 짐승이 된 것처럼 츩도 칡으로 되었다. 따라서, 츨밭골(츨밧골)도 칠밧골이 되었을 것이라고 보는데, 실제 이 산에 정말 칡이 많아서였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지금의 산이름이나 봉우리 이름들 중에는 골짜기 이름을 바탕으로 해서 나온 이름이 적지 않다. 산을 오르려면 대개 골짜기를 따라 오르므로 골짜기 이름 자체가 산이름이나 봉우리 이름으로 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래서, 불곡산(佛谷山), 장곡산(長谷山)처럼 곡(谷) 자가 들어간 산이름이 적지 않다.

골짜기는 한자로 곡(谷) 외에 계(溪)로 많이 나타내므로, 두계산(斗溪山), 송계산(松溪山)과 같이 산이름이 많다. 서울과 경기도 성남시, 안양시, 과천시 경계에 있는 청계산(淸溪山)도 골짜기 이름이 그 바탕이다. 이 산이름은 ‘맑개’ 골짜기 이름에서 나온 것이다. 즉, 맑개의 ‘맑'을 청(淸)으로 개를 계(溪)로 취하여 청계(淸溪)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 지금의 과천시에 있는 막계동(莫溪洞)이라는 이름도 바로 이 골짜기에 마을이 있어서 나온 이름이다.

갈전곡이 칡밭골이고 이는 칡+밭+골의 구성일진대, 이것이 치밭골(치밧골)로 되는 데는 이해가 쉽게 따르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치목골(경남 합천 삼가면 외토리 등), 치밧등(경남 남해 이동면 무림리 등), 치실(경북 경주 천북 갈곡리 등)처럼 칡의 합성 땅이름 중에 칡이 치로 된 것이 적지 않음을 보면 이해가 쉬워진다.
또, 옛 문헌을 퉁해서도 츩이 다른 말과 합성된 말에 ㄱ이 탈락한 츨로 된 것을 볼 수 있다.

·?? 츨오시 (박통사언해-重刊) 12-10 *츨오시=츨+옷+이(츨옷=칡옷, 베옷)
치밧골봉은 그리 잘 알려진 봉우리는 아니다. 홍촌쪽에서는 도리어 이 봉우리 이름보다 치밧골(갈전곡) 골짜기가 더 잘 알려져 있다. 높이로 보아서도 치밧골 골짜기 서쪽의 가칠봉(柯七峰·1,240m)에도 이르지 못한다. 다만, 백두대간 중에 여러 고을을 가르는 중요한 목이어서 산행자들이 이 봉을 많이 주목하고 있을 뿐이다.

배우리 한국땅이름학회 명예회장

Posted by 동봉
,